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하얼빈 등장인물, 줄거리(안중근의사 역사기반 스포 있음)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다룬 영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화 하얼빈 개요

 

영화 하얼빈은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다룬 영화입니다. 1909년도 러시아 블라이보스토크를 재연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1900년대 초반 러시아의 건축 양식을 갖춘 동유럽 국가 라트비아에서 촬영을 했다고 알려집니다. 

 

 

 

 

노트북 영화 등장인물

> 안중근

배우 현빈 님이 연기했습니다. 대한의군 참모중장이자 국립열사 안중근 의사입니다.

 

 

> 우덕순

배우 박정빈 님이 연기했습니다. 대한의군 작전참모입니다. 

 

 

> 김상현

배우 조주인님이 연기했습니다. 대한의군 일본어 통역관입니다. 역사적으로 이 사람은 밀정입니다. 

 

 

> 공부인

배우 전여빈 님이 연기했습니다. 대한의군 무기 공급원입니다. 그녀는 작 중에서 과거 항일 투쟁을 벌었으나 현재는 만주의 마적단 두목이 된 김점출의 먼저 죽은 남동생의 아내입니다. 이 인연을 통해서 의사단에게 이토히로부미를 제거할 목적의 화약을 지원합니다.

 

> 모리 다쓰오

배우 박훈 님이 연기했습니다. 일본 육군 소좌입니다. 

 

> 이창섭

배우 이동욱 님이 특별출연으로 연기했습니다. 대한의군 작전참모입니다. 

 

 

> 이토 히로부미

배우 릴리 프랭키 님이 연기했습니다. 한국통감부 초대 통감입니다. 

 

 

 

 

영화 하얼빈 줄거리

 

1908년 함경북도 신아산에서 안중근이 이끄는 독립군들은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합니다.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은 안국공법에 따라 전쟁포로인 인본일들을 풀어줍니다. 

이 사건으로 독립군 사이에서 안중군에 대한 의심과 함께 균열이 생깁니다. 

 

1년 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는 안중근을 비롯해 우덕순, 김상현, 공부인, 최재형, 이창섭 등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마음을 함께합니다. 

그들은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와 협상을 위해 하얼빈으로 향한다는 소식을 듣고

안정근과 독립군들은 하얼빈으로 향합니다. 

하지만 내부에서 새어나간 정보로 일본군의 추격을 받게 됩니다. 

 

 

 

 

실제 안중근의 삶

 

안중근은 대한민국 말기에 활약한 계몽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였습니다. 

1879년 9월 황해도 해주목에서 태어났습니다. 안중근은 태어날 때 검은 점 7개가 있어 북두칠성의 기운으로 응하여 태어났다고 하여 어릴 때는 '응칠'로 불렸다고 합니다. 

천형적인 무골로 어렸을 적부터 무술을 연마한 것으로 유명하고 사격의 명수였습니다.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과 친분이 있었다는 김구는 백범일지에 안중근을 '안 씨 집안의 총 잘 쏘는 청년'으로 묘사했습니다. 

 

 

 

본래는 천주교의 영향으로 교육사업 등 민족의 계몽사업을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나, 일제의 침탈이 사실상 국권을 뒤흔드는 수준으로 확대되자 항일무장투쟁을 하게 됩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의군을 조직했습니다. 

 

그는 초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이자 초대 한국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해 사살하는 의거를 단행했습니다.

 

체포된 후 옥중에서 많은 휘호를 남기고 자신의 사상을 논하는 글인 '동양평화론'의 서문을 저술하다 사형이 집행됩니다. 

 

 

 

영화 하얼빈 실제 역사적 결말

 

 

당시에 이토 히로부미 사진이 없었기 대문에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의 얼굴도 몰랐다고 합니다.

이토 히로부미는 러시아와 협상을 위해 하얼빈에 오기로 했는데 이 소식을 들은 안중근은 하얼빈 역사에서 대기합니다. 

 

이토 히로부미가 타고 하얼빈에 도착하는 열차가 올 때가 되자 안중근은 인파 속에 섞여있었습니다. 

 

이토 히로부미가 열차에서 내렸지만

수행원들이 많아서 누가 히토 히로부미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 순간 현지 일본인 환영객 들 중 누군가가 이토 히로부미의 이름을 불렀고, 이토 히로부미가 뒤돌아보았다고 합니다.

이 순간 안중근은 그의 얼굴을 확인하고 'FN M1900'으로 3발을 저격하고 그 주의의 일본 측 인물들도 혹시 몰라서 4발을 저격했다고 합니다. 

 

현장에서 안중근은 체포되고, 이토 히로부미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30분 만에 숨졌습니다. 

 

 

 

 

마치며

 

역사적인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입니다. 

그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현재가 있습니다. 

영화를 통해서 그 당시의 상황을 느껴보고 감사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습니다.